3·1 운동 또는 3·1 만세 운동은 일제강점기에 있던 조선인들이 일제의 지배에 항거하여 1919년 3월 1일 한일 병합 조약의 무효와 한국의 독립을 선언하고 비폭력 만세 운동을 시작한 사건이다. 기미년에 일어났다 하여 기미독립운동 줄여서 기미운동이라고도 부른다. 대한제국 고종이 독살되었다는 고종 독살설이 소문으로 퍼진 것을 계기로 고종의 장례일인 1919년 3월 1일에 맞추어 한반도 전역에서 봉기한 독립운동이다. 최근, 본 운동의 규모와 영향력을 고려해 3.1 혁명(三一革命)이라고 부르자는 논의가 일고 있다.
만세 운동을 주도한 인물들을 민족 대표 33인으로 부르며, 이외에 만세 성명서에 직접 서명하지는 않았으나 직접적, 간접적으로 만세 운동의 개최를 위해 준비한 이들까지 합쳐서 보통 민족 대표 48인으로도 부른다. 이들은 모두 만세 운동이 실패한 후에 구속되거나 재판정에 서게 된다. 약 3개월가량의 시위가 발생하였으며, 조선 총독부는 강경하게 진압했다.
조선 총독부의 공식 기록에는 집회인 수가 106만여 명이고, 그중 사망자가 900여명, 구속된 자가 4만 7천여 명이었다. 한편 신복룡 교수나 일본의 야마기 겐타로 약 50만 명 정도가 3·1 운동에 참여하였다고 주장하고 있다. 1919년 3월 당시 일제강점기 조선의 전체 인구는 1,678만 8천400명이었다. 학자들의 견해를 따르면 당시 조선 인구 중 2.76%에서 2.97%의 만세 운동에 참여하였다.
3.1 운동을 계기로 다음 달인 1919년 4월 11일 중국 상해에서 대한민국 임시 정부가 수립되었다. 대한민국 제헌 헌법에서는 3.1 운동을 대한민국 건국의 기원으로 삼아 임시 정부의 법통을 계승한다는 것을 천명하였다.
한편 3.1 운동을 계기로 군사, 경찰에 의한 강경책을 펴던 조선 총독부는 민족 분열책인 일명 문화 통치로 정책을 바꾸게 되었다. 천주교는 흥선대원군의 탄압 후유증(7천여명 천주교인 살해)으로, 시위에 참여하지 않았다.
데라우치 마사타케에서 육군 대장 하세가와 요시미치 총독으로 계승된 무단 통치는 “3·1 독립운동”이라는 뜻하지 않은 결과를 발생케 했다.
이런 가운데 제1차 세계대전이 끝나고 파리 강화회담에서 미국 대통령 우드로 윌슨이 제안한 14개 조의 전후처리 원칙 중에 '각 민족의 운명은 그 민족이 스스로 결정하게 하자'라는 소위 민족자결주의가 알려지면서 조선의 독립운동가들 사이에 희망의 분위기가 일어났다. 일부 독립운동가들은 1918년 말부터 치밀하게 사전 계획을 세우고 있었고 파리 강화회의에 우리의 목소리를 알리기 위해서는 누군가 소요 사태를 일으켜야 한다는 김규식의 발언과 1919년 초 갑작스럽게 사망한 고종 황제의 죽음 등 여러 가지 요인이 복합적으로 나타나면서 절묘하게 기회를 포착하였다.
당시 중국에 유학 중이던 여운형과 신규식 등은 이 선언과 뒤이은 파리 강화 회의가 조선 독립의 달성 여부를 떠나서 앞으로 조선의 미래를 결정짓는 중요한 사건이 될 것이라고 판단하고 신한청년당이라는 단체를 문서상으로 조직해 파리 강화 회의에 불어를 잘하는 김규식을 파견하고, 조선 쪽에는 일본어에 유능한 장덕수를 파견한다. 이러한 소식은 조선 안팎의 독립운동가들을 상당히 고문하는 소식이었다.
그리고 여운형 자신은 중국 길림 성으로 가서 활동하여 무오 독립선언의 촉매 역할을 했다. 만주 지린(간도)에 있는 독립운동가 김약연 등과 만나서 파리강화회의와 민족자결주의 원칙 등 상황을 설명하였고, 이는 무오 독립선언에 영향을 주었다.
1919년 출국 전 김규식은 상하이의 신한청년당 당원들에게 다음과 같이 독립 시위의 주문을 하였다. 김규식의 독립 시위 주문은 3·1운동이 벌어지는 계기가 되었다. 또한 때마침 발생한 고종의 갑작스러운 죽음 역시 일본인들이 고종을 독살하였다는 이야기가 나돌아 절묘하게 만세 시위 확산에 기여하였다. 윤치호는 자신의 일기에 고종의 죽음 역시 국민적 감정을 자극해서 만세 시위가 확산하는 계기를 마련했다고 기록하고 있다. 만주 지린에서 망명한 독립운동가들이 1919년 2월 1일 무오 독립선언을 통하여 조선의 독립을 주장하였고, 조선 재일 유학생을 중심으로 한 2·8 독립선언의 영향을 받은 삼일운동은 고종의 독살설로 인하여 일본의 부당한 조선 점령과 폭력에 의한 통치에 대하여 많은 사람이 반감을 갖게 되어 큰 호응을 얻을 수 있었다. 이 시위는 순수한 평화적 시위였으나 일본군은 이를 무력으로 진압함으로써 폭력화되었다. 1919년 3월 3일 고종의 장례식에 참석하기 위해 전국의 사람들이 서울로 모여들었고, 이들 중의 많은 수가 시위 운동에 참가하였다.
일본인 학자 야마베 겐타로에 의하면 운동의 참여자는 50만 명 이상이라고 추정한다. 야마베 겐타로에 의하면 전국에서 고종의 장례를 위해 50만명의 사람이 서울에 모여있었는데 이들은 대부분 시위 운동에 참여하여 삼일운동의 참여자는 50만 명 이상이라고 추정한다. 한국의 학자 신복룡은 46만 명 정도로 파악하였다.
3.1 운동의 비폭력 항쟁 중에서도 3월 1일부터 4월 30일까지 만세를 부른 사람의 수효는 46만 3086명 정도였다. [1] 이는 1919년 3월 당시 전체 인구 1,678만 8천400명 중 2.76%에 해당하는 인원이었다. 조선총독부의 공식 집계에 따르면, 106만 명이 참가하여 진압 과정에서 553명이 사망, 12,000명이 체포되었다
'세상의 모든 학문 > 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후쿠시마 원전 폭발사고와 동일본 대지진 (0) | 2023.08.29 |
---|---|
6.25 전쟁 (0) | 2023.08.23 |
숭례문의 역사와 2008년 숭례문 방화 사건 (0) | 2023.08.21 |
일제 강점기(1910~1945) (0) | 2023.08.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