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세상의 모든 학문/역사

일제 강점기(1910~1945)

by moo-ti 2023. 8. 18.
반응형

 

8월 15일 광복절을 맞이하여(3일 지났지만) 일제강점기 관련 정보를 포스팅 해보려고 한다. 일제강점기는 우리나라가 일본제국주의에 의하여 식민 통치를 당한 35년간(1910∼1945)의 시대이다. 대일본제국(大日本帝國), 일본 제국 또는 일제는 메이지 유신 이래 일본 열도와 그 식민지를 통치했던 국가이다. 메이지 유신은 19세기 일본이 막 부를 타도하고 천황을 중심으로 하는 중앙집권 체제를 복구하고 정치·경제·문화 전 분야에 걸쳐 근대화를 성공시킨 일련의 개혁을 말한다. 한국에 대한 일본의 식민지정책은 사회·경제적 수탈에 그치지 않고 민족의 말살까지 목표로 했다는 점에서 가장 폭압적이고 무단적이었으며 악랄한 것이었다. 일제는 역사 왜곡을 통한 정신 문화의 개조, 한국어 사용 억제, 민족문화유산 파괴를 서슴지 않았다. 이에 맞선 항일 독립투쟁은 전 세계 약소 민족의 모범이 될 정도로 완강하고 줄기차게 전개되어 광복을 이루어냈다. 일제 강점이 우리 역사에 끼친 해독은 참으로 심대한 것이어서 남북분단까지 초래했다. 일본제국주의는 한국을 식민지로 강점한 다음 서구열강의 식민지정책과도 다른 그들의 독특한 식민지정책을 한국에 실시하였다. 일본제국주의의 한국에 대한 식민지정책의 특징은 한국 민족 말살정책과 식민지 수탈정책의 융합으로 요약할 수 있다. 제2차세계대전 종료 이전까지의 열강의 식민지정책은 나라에 따라 각각 유형적 특징이 있었다. 영국형은 사회 · 경제적 수탈을 목적으로 하여 ‘간접 지배’를 원칙으로 하였다. 이 때문에 식민지의 행정관리는 토착인(대대로 그 땅에 사는 사람)을 고용하면서 독립운동을 막기 위하여 토착인지에 대한 분할과 지배(divide and rule)의 정책을 채택하였다. 분할통치는 피지배민을 분열시켜 통치에 용이하게 하는 기법이다. 또한, 식민지 관리를 충원하기 위하여 토착인지에 대한 어느 정도의 고등교육을 실시할 필요가 있었으며, 토착인 민족 보존 운동이나 민족문화 운동에 대해서는 대체로 방관적 정책을 취하였다. 프랑스형 역시 사회 · 경제적 수탈을 목적으로 하였으나 영국과는 달리 ‘직접 지배’를 원칙으로 하였다. 따라서, 식민지 행정관리는 대부분 프랑스인을 고용하였다. 프랑스형은 토착인 민족 보존 운동에는 방관적이었으나 민족문화 운동에 대해서는 이를 교육을 통하여 통제하고, 프랑스식 생활양식과 가톨릭교를 보급하여 프랑스식 문화체계를 이식시키려 하였다. 한편, 네덜란드형 역시 사회 · 경제적 수탈을 목적으로 하여 ‘직접 지배’를 원칙으로 하고, 식민지 관리도 대부분 네덜란드인을 고용하였다. 그러나 프랑스형과 다른 점은 토착인 민족 보존과 민족 구성이나 민족관습, 또는 민족문화에 대해서는 가능한 한 이를 침해하지 않고 그대로 보존시켜 독립운동의 저항을 줄이면서 사회 · 경제적 수탈을 극대화하려는 정책을 취하였다. 일본의 한국에 대한 식민지정책은 프랑스형을 모방하여 직접 지배의 원칙을 채택하였으나, 프랑스형과 근본적으로 다른 점은 이른바 ‘동화정책(同化政策)’이라는 이름 밑에 문화 전통을 철저히 말살하여 일본문화에 동화시키고자 기도하는 한국 민족 말살 정책을 강행한 데 있었다.

제1기
무단정치기. 한국을 병합한 이후 1919년 3·1운동까지의 이 시기는 식민지 지배체제를 굳히는 기초작업을 한 시기로서, 행정·입법·사법·군사 등 모든 독재권을 가진 일왕 직속의 조선 총독이 강력한 헌병·경찰력을 배경으로 철저한 무단 강압 정책을 편 것으로 특징지어진다. 정치적 결사·집회를 금지하고 한글 신문을 폐간시켰으며, 관리나 교원은 제복을 입고 칼을 차게 했다. 또 재판을 거치지 않고 군사경찰이 즉결처분을 감행했고, 애국지사들을 모조리 잡아들여 잔혹한 고문을 가하고 투옥했다.
한편 경제적으로는 우리나라를 저들의 식량·원료공급 및 상품의 독점시장으로 개편하기 시작, 철도·항만·도로·통신 등 기초적 건설사업에 착수하는 동시에 토지조사 사업을 강행, 우리 농민들의 토지를 강탈하여 동양척식회사의 수중으로 들어가게 했다. 그 결과 많은 농민이 토지를 잃고 유랑하거나 소농으로 전락했으며, 구사회가 급속히 해체되는 과정을 밟게 되었다. 이 같은 급속한 개혁과 가혹한 수탈은 한국 민중 전체의 항거를 초래, 지사들의 궐기와 독립운동, 노동자의 파업 투쟁이 각지에서 일어나 총독부의 무단통치 체제를 위협하는 가운데, 마침 1차대전이 끝나고 미국 대통령 윌슨의 민족자결주의 제창을 계기로 일제의 압제에 대한 민중의 분노는 3·1운동으로 폭발하기에 이르렀다

제2기
문화정치기. 3·1운동으로 위협을 느낀 일제가 종래의  대신을 내세우고 고도의 민족분열정책을 펴는 한편, 경제적으로는 기초적 정책을 넘어 한국경제를 완전히 일본경제에 종속시키려는 식민지경제의 확립을 그 특징으로 하는 시기다. 1919년 새로 부임한 총독 사이토(齋藤實)는 이라는 구호 아래 이른바 을 내세웠는데, 이것은 일본이 31년 만주사변을 일으켜 새로운 대륙침략을 감행할 때까지 계속된 것으로, 총독부 관제를 개정, 제도상으로 문관(文官) 총독의 임명을 허용하고, 헌병경찰제 도를 보통경찰제로 개정, 그 사무집행권을 도지사에게 넘기고 지방분권적 자치제도를 표방했다. 또 조선인 관리임용의 범위를 확대하는 동시에 관리·교원의 착검·제복도 폐지했으며 우리말 신문의 간행을 허락하는 등 약간의 언론자유를 허용했다.
그러나 경제적으로는 수탈체제를 더욱 강화하여, 이른바 산미증식계획을 짜서 이를 한국 농촌에 강요, 일본 내의 식량문제를 한국에서의 식량수탈로 해결하려 했다. 이 증식계획은 결과적으로 실패했지만, 미곡 수탈량은 목표대로 수행되어, 한국농민은 굶주림에서 벗어나기 위해 쌀을 팔아 만주에서 들여오는 잡곡을 사먹는 비참한 백성이 되고 말았다. 그중에는 많은 농민이 화전민이나 노동자로 전락하거나, 또는 유랑의 길을 떠나, 남한 주민은 주로 일본에, 북한 주민은 주로 중국으로 이주했다. 당시 통계 숫자는 26년부터 31년까지 5년에 걸쳐 결식자가 1만~16만 3천 명, 춘궁기에 초근목피로 사는 궁민이 29만 6천~104만 8천 명, 겨우 궁민을 면한 극빈 영세민이 186만~420만 명에 이르렀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압제 아래서도 소작쟁의·노동쟁의·학생운동·사상운동 등 일련의 항일 사회운동이 전개되었으며, 27년 민족주의자의 총합체인 신간회(新幹會)가 조직됨으로써 운동의 단계를 더욱더 높이기에 이르렀다.
이 시기에 국내에서는 3·1운동 이래 최대의 6·10만세운동(1926)과 광주학생운동(1929)이 일어나 일제의 한국통치에 일격을 가했으며, 또한 해외에서는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상해에 수립되어 주권 회복에 나섰고, 만주·시베리아 등지에서는 많은 독립운동단체가 항일무장투쟁을 전개했다. 특히 20년 10월의 청산리대첩은 망국 10년의 한을 달래주는 일대 장거였다. 이에 총독부는 30년을 전후하여 사상운동에 대한 탄압을 강화하고, 31년 만주사변이 발발하자 본격적인 탄압을 가하면서 조선 통치의 근본적인 변환을 강구했다.

제3기
병참 기지화 및 전시 동원기. 31년 만주사변, 37년 중·일전쟁을 도발한 일본이 한국을 대륙침략을 위한 병참기지로 삼고, 이어 41년 태평양전쟁의 수렁에 빠지자 한국의 인력과 물자를 강제 동원하여 전력화한 전시 동원기다. 36년 미나미(南次郞)가 총독으로 부임하자 먼저 중요 산업통제령을 공포, 군수공업을 핵으로 하는 전시경제 확립을 목표로 우리나라 경제의 재편성을 강행, 중화학공업을 발전시키는 한편, 군사수송을 위해 육운·해운·공수의 교통시설과 통신시설을 확충했다. 이러한 전시 동원 태세는 내정에도 이어져 조선 사상범 예비구금령·조선사상범보호관찰령을 공포, 모든 사상운동을 탄압하는 동시에, 38년에는 교육령을 개정, 내선일체(內鮮一體) 등의 3대 강령을 내세워 조선 학생의 황국신민화(皇國臣民化)를 꾀하고, 조선어 과목 폐지, 조선어학회·진단학회(震檀學會) 해산, 우리말 신문 폐간, 그 밖에도 신사참배(神社參拜)·일본식 성명 강요를 강요하는 등 민족문화 말살을 기도하는 역사상 유례없는 폭압을 저질렀다.
전시 동원에 있어 일본은 정신적·사상적인 데만 국한하지 않고 인적·물적 동원을 강제, 37년 육군 지원병제를 실시하여 한국 청년을 침략전쟁의 총알받이로 내보냈고, 근로보국대를 조직, 한국인을 군사시설·중공업에 강제 동원했으며, 43년 5월에 이르러서는 징병제 실시, 이듬해 11월에는 학병제를 시행하여 우리의 젊은이들을 침략전쟁의 구덩이로 몰아넣었다. 이 기간 국내의 독립운동은 미미한 가운데 만주·시베리아 등지에서는 활발한 항일투쟁이 전개되어, 임시정부는 일본에 선전을 포고하고, 광복군이 중국군을 도와 항일전에 참여, 우리의 독립 정신을 세계에 보여주었다. 이윽고 일본의 히로시마(廣島)와 나가사키(長崎)에 원자탄이 투하되고, 이어 얄타협정에 따라 소련이 참전하자 일본은 45년 8월 15일 무조건 항복함으로써 우리나라는 만 35년에 걸친 일제의 질곡에서 벗어나게 됨과 동시에 카이로·포츠담 선언의 보장에 의해 독립의 큰 꿈을 갖게 되었다.

반응형

'세상의 모든 학문 > 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후쿠시마 원전 폭발사고와 동일본 대지진  (0) 2023.08.29
6.25 전쟁  (0) 2023.08.23
숭례문의 역사와 2008년 숭례문 방화 사건  (0) 2023.08.21
3·1 운동  (0) 2023.08.19